통계의힘9 데이터를 '단 하나의 값'으로 이해하려는 성향 - 평균의 함정과 심슨의 역설 저자는 인과관계 통찰을 위한 통계학에 필요한 지식으로 아래 3가지를 언급했습니다. 1. 평균과 비율 등 통계 지표의 본질적인 의미 이해 2. 데이터를 점이 아닌 구간으로 이해 3. '무슨 값을 어떻게 정리해야 하는지' 아는 지혜 오늘은 이 중에서 '데이터를 점이 아닌 구간으로 이해'하는 것과 관련해서 가볍게 살펴보도록 해요. '단 하나의 값'으로 이해하려는 성향 저자는 많은 사람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정리할 때 그 한가운데 있으리라고 생각하는 '단 하나의 값'으로 이해하려는 성향을 갖고 있다고 말합니다. 대표적인 것이 우리가 잘 아는 '평균'인데요, 이것은 비단 데이터를 다룰 때만 나타나는 현상은 아닙니다. 사람은 지각 능력과 기억 능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우리의 뇌는 다양한 정보를 그대로.. 2021. 12. 23. 숫자를 잘 활용하는 방법, '통찰'의 통계학 공부하기 업무와 관련된 책들을 가끔 읽고 있는데요, 소개해 드릴 만한 좋은 책이 있어서 앞으로 이 책에서 얻은 지식과 저의 생각을 꾸준히 공유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통계의 힘: 실무활용 편 (니시우치 히로무 지음) '통계학'을 다루니까 재미없고 딱딱해 보일 수 있지만, 잘 몰랐던 사실, 헷갈렸던 부분이 해소되는 즐거움을 주는 책이고, 읽다 보면 무릎을 탁 치는 순간이 여러 번 오는 신통한 책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이 다루는 내용이 다소 딱딱한 부분은 피하기 어렵습니다. 😅) 제목에서 엿볼 수 있듯이 이론보다는 ‘활용’의 관점에서 통계학의 여러 가지 개념들을 알려주는 책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숫자를 자주 다루거나 통계 관련 지식을 업무에 활용해야 하는 분들께서 차근차근 읽고 개념을 다지기에 매우 좋은 .. 2021. 12. 20. 이전 1 2 다음 반응형